-
4대 보험 뜻, 요율, 계산기, 주휴수당, 직장인 알바 싹 다 정리 한 번에 확인하기경제 2024. 9. 1. 12:22
이미지 출처: 4대 보험 정보연계센터 대한민국 근로자라면 누구나 의무로 가입해야 하는 4대 보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4대 보험 뜻
4대 보험 제도의 보다 자세한 안내는 하기의 "4대 보험 정보연계센터"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 ↓ ↓ ↓ ↓ ↓ ↓ ↓ ↓
https://www.4insure.or.kr/ptl/totalinfo/tab01/page01.html
▷대한민국 4대(5대) 보험
- 국민연금
- 국민건강보험(건보)
- 고용보험
- 산업재해보상보험(산재보험)
- 노인장기요양보험(요양보험)
▷4대 보험 각 요율(요금의 정도나 비율)
월보수액 기준
- 국민연금 : 9% (4.5% / 4.5%)
- 건강보험 : 7.09% (3.545% / 3.545%)
- 고용보험 : 1.8% (0.9% / 0.9%)
- 산재보험 : 사업주 100% (업종별 요율 상이 0.56%~5.76%)
- 노인장기요양보험 : 소득의 0.9182%(건강보험료 대비 12.95% : 6.475% / 6.475%)
▷4대 보험료 확인 방법 / 4대 보험료 계산기
평소에 자신의 월급에서 공제하는 4대 보험료는 국민연금의 4대 보험료 간편 계산기 사이트(www.nps.or.kr)에서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① 메인 화면에서 국민연금공단을 클릭합니다.
② 국민연금 사이트가 뜨면 메인 화면에서 4대 보험료 계산기를 클릭해 주세요.
③ '월급여'란에 본인의 월급을 기입하고, 해당 근로자수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 3백만 원의 급여를 받는다고 가정했을 때, 하기와 같은 금액이 산출됩니다.
산재보험은 사업자 부담이므로 4대 보험 계산기에는 표기가 되지 않습니다.
※산재보험 납부액은 업종별 납입 금액이 상이하므로 별도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요율은 상기 본문에서 참고해 주세요)
혹시 납부액이 궁금하시다면, 하기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s://www.comwel.or.kr/comwel/paym/insu/chek1.jsp
근로복지공단 대표홈페이지 | 고객소통 | 민원/조회 | 산재보험료 알아보기 | 부과고지 사업장
www.comwel.or.kr
▷아르바이트 4대 보험 가입 기준
※ 아르바이트 4대 보험은 각 근무 시간과 조건을 확인하시어, 상기 계산기에 대입하시면 됩니다.
※ 아르바이트 근무 형태 별 지칭
단시간 근로자: 1주 근무시간 40시간 미만인 경우
초단시간 근로자: 1주 근무시간 15시간 미만인 경우
- 국민연금: 4주에 60시간 이상 근무 시
- 건강보험: 4주에 60시간 이상 근무 OR 3개월 이상 근무 시
- 고용보험: 단시간 근로자 가입대상, 초단시간 근로자 3달 이상 근무 시 가입대상
- 산재보험: 기간 상관없이 모든 근로자 가입대상
▷주휴수당
주휴일에 지급해야 하는 하루치 임금입니다.
일주일 15시간 이상 근무 시, 1주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주휴일)'이 주어지므로 '주휴수당'이 발생합니다.